티스토리 뷰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이 끝났고, 이제 우리는 2024년 2월 16강에서 16개 팀 모두가 누구와 맞붙게 되는지 알고 있습니다. 유럽의 거물 레알 마드리드는 RB 라이프치히와 승부를 앞두고 있고, 맨체스터 시티는 16강의 신데렐라 FC 코펜하겐을 맡을 예정입니다.

 

victor-osimhen-napoli
그래, 첼시 가기 전까지 최선을 다하마

 

녹아웃 방식의 첫 번째 라운드 추첨을 통해 우리는 기대할 만한 흥미로운 대진표를 얻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강한 팀들이 잠재적인 승자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시티가 2년 연속 트로피를 손에 넣을 수 있을까요? 마드리드가 15번째 우승을 차지하고 대부분의 종합 타이틀 순위에서 경쟁팀들과의 격차를 늘리게 될까요? 아니면 바이에른 뮌헨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명망 높은 트로피를 들어 올릴 수 있을까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이 글을 통해 16강의 모든 팀의 전력분석과 순위를 산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들이 조별 리그에서 어떻게 활약했고, 각 팀은 다음 라운드에서 누구를 상대했으며, 그들이 역사적으로 녹아웃 라운드에서 얼마나 좋은 성적을 냈는지와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토너먼트에서 우승할 가능성을 점쳐보도록 하겠습니다.

 

축구에는 예측할 수 없는 의외성이 너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6월에 승자가 결정될 때 이 글의 예상을 훨씬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고민하지 않고 순위를 예상해 보겠습니다.

 

16. FC 코펜하겐

우리는 이들에 대해 상당한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펜하겐은 2023/24년에 기억에 남을 조별 예선을 치렀으며, 홈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기억에 남을 승리를 기록했고, 이후 갈라타사라이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예선 통과에 성공했습니다.

 

선수들과 스태프들은 2010/11 시즌 이후 처음으로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덴마크 팀은 이제 펩 과르디올라의 맨시티라는 유럽 최강의 팀을 상대로 어려운 시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코펜하겐이 현재 유럽 챔피언을 이기려면 작은 기적이 필요할 것이며 우리는 그들이 3월에 토너먼트에서 떠나갈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5. 라치오

마우리치오 사리 감독의 팀은 조별 예선에서 꽤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셀틱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16강 진출을 확정했지만, 라치오는 녹아웃 스테이지 1라운드에서 더 큰 팀들을 피하기 위해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상대로 승리가 필요했습니다.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는데, 스페인 팀이 2-0으로 승리하며 E조 1위를 확정 지었습니다. 이로 인해 라치오는 순위가 하락하면서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해야 할 상황에 처했고 그들의 토너먼트 승리 가능성은 급격히 낮아졌습니다. 또한 현재 그들은 세리에 A 11위이고, 챔피언스 리그에서 승리할만한 폼이 아니기 때문에 8강 진출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14. RB 라이프치히

이들의 16강 진출 가능성은 RB 라이프치히가 영 보이즈(Young Boys)와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Red Star Belgrade)가 포함된 상대적으로 쉬운 그룹에 속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팬들이 말했듯이 쉬운 조에 편성된 행운은 아무것도 보장하지 않으므로 이 독일팀이 조별 예선을 통과한 것에 존중을 표해야 합니다.

 

아스날의 관심을 받고 있는 차비 시몬스(Xavi Simons), 벤자민 세스코(Benjamin Sesko) 등 실력 있는 선수들이 있는 괜찮은 팀이지만, 지금 마르코 로제(Marco Rose) 감독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16강 상대입니다. 그들은 토너먼트에서 언제나 우승 후보로 꼽히는 카를로 안첼로티의 레알 마드리드이기 때문에 라이프치히가 주드 벨링엄(Jude Bellingham)과 그의 동료들을 이겨낼 것이라고 예측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13. FC 포르투

H조 마지막 경기에서 포르투가 샤흐타르 도네츠크를 상대로 한 경기는 양 팀이 승점 9점으로 동점인 상황에서 승자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단두대 매치였습니다. 그리고 그 경기에서 승리한 것은 포르투갈 클럽이었습니다. 경기를 5-3으로 이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 그들은 그룹 1위 팀인 바르셀로나와 같은 승점을 기록하며 조별 라운드를 마무리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다음 라운드에서 아스날과 승부를 앞두게 되면서 챔피언스리그에서 두 번이나 우승한 팀이 8강에 진출하는 것을 보기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포르투는 2020/21년 첼시에게 패배한 이후 8강에 진출하지 못했고, 챔피언스리그 트로피를 추가하려면 좀 더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12. 레알 소시에다드

레알 소시에다드, 인터 밀란, 벤피카, RB 잘츠부르크는 모두 퀄리티를 가진 팀이었고 그런 만큼 D조에서 벗어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소시에다드는 6경기 모두 무패 행진을 이어갔고, 벤피카를 상대로 3-1 승리, 잘츠부르크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며 인테르와 승점은 같지만 골득실차에서 앞서 조 1위를 차지했습니다.

 

불행하게도 이 스페인 팀에게는 그들이 상상하던 것 중 가장 힘든 매치가 주어졌습니다. 파리 생제르맹과의 승부가 그들을 기다리고 있고, 루이스 엔리케의 팀이 보유한 화력을 고려하면 소시에다드가 챔피언스 리그 팀으로 활약할 날은 얼마 남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11. PSV 에인트호번

PSV 에인트호번은 아스날과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랑스보다 1점 앞서며 16강에 진출했습니다. 또한 현재 에레디비시에 승점 10점 차이로 최상위에 있는 그들은 16강 상대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게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독일 팀과의 승부는 페터르 보츠(Peter Bosz) 감독의 팀이 기대할 수 있었던 좋은 대진 결과 중 하나이며, 도르트문트가 탑독으로 경기에 임하는 반면 PSV는 역전을 일으킬 언더독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는 네덜란드 클럽에게는 낯선 영역입니다. 그들은 2015/16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게 탈락한 이후 토너먼트의 이 단계에 도달한 적이 없고, 그들이 이 매치의 승리는 고사하고 토너먼트 후반부에 도달하는 것을 볼일은 없을 것입니다.

 

10.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는 최근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지로나, 레알 마드리드에 이어 라 리가 3위인 사비 감독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습니다. 스페인 매체 렐레보(Relevo)는 로열 앤트워프와의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클럽 구성원들이 그에 대한 믿음을 잃어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리고 벨기에 팀에 3-2로 패한 후, 포브스(Forbes)는 사비가 현재 클럽 회장인 후안 라포르타(Joan Laporta)의 신뢰를 받고 있지만 이번 시즌에 트로피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해고에 직면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바르셀로나는 앤트워프에 당한 당혹스러운 패배와 주변의 모든 잡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H조 1위를 차지했지만, 16강 대진운은 그들에게 가혹한 손길을 안겨주었습니다. 현재 세리에 A 챔피언인 나폴리와의 승부를 감안할 때, 사비와 바르셀로나는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Khvicha Kvaratskhelia)와 빅터 오시멘(Victor Osimhen)과 같은 선수들을 잠재우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현재의 문제가 지속된다면 아마도 그들이 탈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9. 나폴리

발테르 마차리(Walter Mazzarri)의 팀은 C조 2위로 기대치를 어느 정도 충족시켰지만, 결코 레알 마드리드를 꺾고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바르셀로나라는 또 다른 라 리가 거물과의 매치가 그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나폴리에는 다음 라운드에서 바르셀로나에 두통을 일으킬 수 있는 선수가 여러 명 있습니다.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는 지난 시즌만큼 높이 날지는 못하지만 빅터 오시멘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훌륭한 선수로 남아 있습니다. 이는 나폴리가 칼리아리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둔 경기에서 놀라운 어시스트를 보여주며 입증된 사실입니다. 나폴리와 바르사의 경기는 이번 16강 매치 중 예측하기 가장 어려운 경기 중 하나이며, 팬들에게는 마음을 사로잡는 경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부에서 계속

[해외축구] 23-24 챔피언스리그 16강 파워랭킹 유럽축구 대항전 전력분석 (2)